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알리타 디스토피아 배경, 계급 사회의 본질, 알리타가 가진 존재론적 의미

by beautiful-soul1 2025. 4. 21.

2019년 개봉한 알리타: 배틀 엔젤은 사이버펑크 장르의 정수를 담아낸 작품으로, 원작 만화 ‘총몽’을 바탕으로 한 강렬한 세계관과 사회 구조로 많은 관객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겉보기에는 화려한 전투와 시각 효과가 중심인 듯 보이지만, 이 영화의 진짜 핵심은 디스토피아 사회의 계급 구조와 인간성과 기계의 경계를 묻는 철학에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알리타의 배경 세계인 철의 도시와 공중도시 자렘의 구조, 그 속에 내포된 계급 차별과 시스템의 본질을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영화 알리타: 배틀 엔젤 소개

 

1. 디스토피아 배경 ‘철의 도시’의 구조

알리타의 세계관은 폐허가 된 미래 지구를 배경으로 하며, 핵심 무대는 '철의 도시(Iron City)'입니다. 이 도시는 공중에 떠 있는 자렘(Zalem)이라는 상류층 도시 아래에 위치한 일종의 쓰레기 처리장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사회적 하층민들이 생존을 위해 고철과 부품을 수거하며 살아가는 디스토피아적 공간입니다.

철의 도시는 기본적으로 고도로 기계화된 빈민 도시이며, 인간과 기계가 공존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기계 의존도에 따라 생존이 결정되는 구조입니다. 대부분의 시민들은 신체 일부가 사이보그화되어 있고, 전투 기술이나 불법 스포츠인 '모터볼(Motorball)' 등을 통해 생계를 유지합니다. 이곳에서의 기술은 생존을 위한 수단이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도구가 아닙니다.

또한 법과 질서가 존재하긴 하나, 그것은 ‘공중 도시’ 자렘의 이익을 위해 작동하는 통제 장치일 뿐입니다. 도시에는 ‘헌터 워리어(Hunter-Warrior)’라고 불리는 일종의 자경단 시스템이 있고, 이들이 범죄자를 추적하며 법을 집행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본질적으로 중앙정부가 아닌, 기업 권력과 도시 상층부의 명령을 따르는 시스템으로, 극 중에서 ‘노바’와 ‘벡터’ 같은 캐릭터들이 이를 조작하는 장면을 통해 그 부패함을 알 수 있습니다.

 

2. 공중 도시 ‘자렘’과 계급 사회의 본질

철의 도시 위에 존재하는 자렘은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한 상위 계층의 도시로, 하늘 위의 이상향처럼 묘사됩니다. 하지만 영화가 전개될수록 이곳이 단순한 낙원이 아니라, 철저히 분리된 계급 시스템의 정점임이 드러납니다. 자렘은 철의 도시에서 자원을 수탈하고, 쓰레기와 폐기물을 버리며 그 아래 사람들을 노동력으로 활용하는 식민지 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자렘에 가는 것이 인생 최고의 목표이자 희망이라 믿지만, 실상은 그 꿈조차 철저히 통제된 허상입니다. ‘모터볼’ 경기에서 우승하면 자렘으로 갈 수 있다는 설정도 사실은 조작된 허구이며, 자렘은 하층민이 절대 접근할 수 없는 닫힌 공간입니다. 이는 단순히 공간적 분리를 넘어 이데올로기적, 심리적 계급 차별로 이어집니다.

자렘의 통치를 담당하는 ‘노바’는 거의 신적인 존재로 묘사되며, 철의 도시의 모든 사건을 감시하고 개입합니다. 그는 사람들의 기억, 행동, 의지마저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고, 이는 현대 디지털 사회의 감시 구조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알리타가 자렘의 존재를 직접 마주하게 되며, 관객은 상류층의 위선과 하층민의 절망을 더 명확히 인식하게 됩니다.

이러한 구조는 단순한 부자-빈자의 대립을 넘어, 기술 계급, 정보 계급, 생물학적 계급으로 이어지는 다층적 억압 구조를 보여줍니다. 자렘은 높은 기술력과 자원을 독점하며, 철의 도시는 그 밑바닥에서 부품처럼 쓰이다 버려지는 존재들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3. 알리타가 가진 존재론적 의미와 계급의 저항

영화 속 주인공 알리타는 자렘 출신이 아닌, 고대 기술로 제작된 전사형 사이보그입니다. 그녀는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 속에서 철의 도시와 자렘 간의 계급 구조를 직접 부딪혀 깨뜨리는 상징적 인물로 그려집니다. 단순히 강한 전투력을 가진 존재가 아니라, 시스템에 저항하고 자신을 되찾는 존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알리타는 영화 초반 자신이 누구인지조차 모르는 상태에서, 타인의 도움으로 신체를 재조립하고 인간성을 배워나갑니다. 그러나 영화 중반부터는 기억을 되찾고, 자신이 과거 '유니언 전쟁'에 참여했던 강력한 전사였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이는 단순한 능력 회복이 아니라, 사회 시스템에 대한 저항의식이 성장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모터볼 경기에서의 싸움은 단순한 스포츠가 아닌, 철의 도시 시민들에게 주어진 유일한 ‘탈출구’이며, 알리타는 이 판 자체가 자렘을 위한 조작된 도구임을 인식하게 됩니다. 그녀는 게임의 승자가 되는 대신, 자체적으로 시스템을 무너뜨리는 방법을 선택하고, 이는 기존 질서에 대한 반항이자 새로운 가능성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알리타는 기계와 인간의 경계에 있는 존재로, 외형은 완전한 사이보그지만 내면은 누구보다도 인간적인 감정과 정의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녀의 존재는 기술 발전이 인간성을 잃는 것이 아닌, 인간의 본질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동시에 현대 사회의 계층 문제와 정보 불평등, 통제 시스템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담고 있습니다.

 

알리타: 배틀 엔젤은 화려한 액션과 CG 뒤에 숨겨진, 매우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메시지를 담은 영화입니다. 철의 도시와 자렘이라는 이중 구조, 계급과 정보의 통제 시스템, 그리고 그것을 깨뜨리려는 알리타의 저항은 오늘날 우리가 마주한 현실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영화의 세계관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관객이 현재 사회를 돌아보게 만드는 거울 같은 장치입니다. 속편이 제작된다면, 이 세계가 어떤 방향으로 확장될지 함께 지켜보는 것도 흥미로운 경험이 될 것입니다.